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AO
- 청크
- select
- DAO의 분리
- 자바
- PYTHON
- 외부조인
- orderedDict
- 싱글톤
- 121
- Spring Framework
- 리스트 자르기
- GCP Storage
- ChainMap
- Oracle
- 스프링
- JIT
- 싱글톤 레지스트리
- 오버라이딩
- 쓰는이유
- defaultdict
- 파이썬
- overriding
- spring
- java
- react
- 데이터베이스
- null
- 백준
- 개발기록
- Today
- Total
목록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3)
PengTory

Docker란? 고래등에 올려진 컨테이너 박스들 처럼 프로그램과 실행에 필요한 것들은 컨테이너에 Shipping 컨테이너를 손쉽게 이동해 어디서나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도구와 환경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컨에티너 레벨로 돌아갈 수 있게 해주는 엔진이며 리눅스 레벨에서 돌아간다. 컨테이너 이해하기 (컨테이너와 VMS) 가상화는 OS위 OS로 시간이 걸린다. Virtual Machines 가상화된 애플리케이션에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필요한 바이너리 /라이브러리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전체가 포함된다. Docker 도커 엔진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꼭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만 가지고 있다. 운영체제 상의 사용자 공간에 격리된 프로세스로 구동되기 때문에 가상머신의 이점을 누리면서도 이동성이 훨씬 뛰어..

1. 리눅스 구조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임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유저가 있으며,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 cd / -> 입력 시 root 디렉토리로 감 dev : 디바이스 (장치에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있음) bin : 실행 명령에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있음 etc :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들어있음 lib : 시스템 라이브러리가 들어있음 2. root 사용자 사용법 리눅스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슈퍼 유저인 root 계정을 활성화시켜놓지 않는다. 따라서 root 계정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 그 전에 리눅스에서 일시적으로 최고관리 권한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가 있는데 그게 sudo와 su다. sudo : 1회성으로 일시적 super user 권한 부여..

1. EC2(Elastic Computer Cloud) 개념 가상 서버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AWS의 물리적 서버를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물리적 서버 없이 클라우드를 통해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요청하여 사용 가능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Windows 서버와 LINUX 서버와 동일한 서비스 2. EC2 수명주기 (putty를 사용해 학교 서버에 접속) 3. 기본 명령어 (우분투_리눅스) ls (list)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로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 나열 ls -a 숨김 파일 보기 ls -l 자세히 보기 ls -al 숨김 파일들 자세히 볼 수 있음 > 출력할 destination cd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