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ngTory

우분투_리눅스 기본 명령어 (2) 본문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우분투_리눅스 기본 명령어 (2)

펭토리 2022. 4. 13. 20:48

1. 리눅스 구조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기능

  •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임
  •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유저가 있으며,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
  • cd /  -> 입력 시 root 디렉토리로 감
  • dev : 디바이스 (장치에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있음)
  • bin : 실행 명령에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있음
  • etc :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들어있음
  • lib : 시스템 라이브러리가 들어있음

2. root 사용자 사용법

리눅스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슈퍼 유저인 root 계정을 활성화시켜놓지 않는다.

따라서 root 계정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

그 전에 리눅스에서 일시적으로 최고관리 권한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가 있는데 그게 sudo와 su다.

sudo : 1회성으로 일시적 super user 권한 부여

su (switch user): 유저를 바꾼다.

 

1) $ sudo passwd root 입력

위 명령어를 윕력하면 root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2) $ su

위 명령어 입력 후 1)에서 입력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ubuntu@ip 에서 root@ip로 바뀌고 $가 #으로 바뀐다.

root 사용자로 바뀐 후 pwd를 입력해보면 root디렉토리로 들어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사용자와 그룹

  • 모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있음
  • 사용자는 /etc/passwd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etc/shadow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 그룹은 /etc/group 파일에 정의되어 있음
  • adduser :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
  • passwd :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지정하거나 변경
  • usermod :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
  • userdel : 사용자를 삭제
  • chage : 사용자의 암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설정
  • groups: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보여줌
  • groupadd : 새로운 그룹을 생성
  • groupmod : 그룹의 속성을 변경
  • groupdel : 그룹을 삭제
  • gpasswd : 그룹의 암호를 설정하거나, 그룹의 관리를 수행

4.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와 허가권

파일의 리스트와 파일 속성

  • 파일 유형 :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d, 일반적 파일일 경우에는 - 가 표시됨 
  • rwx rwx rwx : r은 read, w는 write, x는 excute를 의미
  • 첫번 째 rwx : ubuntu user을 의미
  • 두번 째 rwx : ubuntu group을 의미
  • 세번 째 rwx : 다른 사용자를 의미
  • rwx rwx rwx가 전부 있으면 user, group 다른 사용자가 모두 파일을 읽고 쓸고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함
  • 권한을 변경해주고 싶을 때는 chmod로 권한을 변경해줄 수 있다.
  • chmod에는 숫자모드와 글자모드 두개가 있음

5. chmod 숫자모드

  • 숫자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 표현
  • 각 카테고리 별로 접근 권한을 하나의 8진수로 표현
  • 3개의 8진수를 사용하여 전체 접근 권한 표기
  •  

숫자모드 표시 방법

  • chmod 소유자8진수 그룹8진수 기타 8진수 파일명 으로 접근 권한을 변경
  • ex) chmod 444 first.dat, chmod 777 first.dat

6. chmod 기호모드

  • chmod 사용자카테고리 연산자 권한 파일명 으로 사용
  • ex) chmod go-x first.dat, chmod u-w first.dat, chmod u+w, g-w first.dat

사용자 카테고리 표
연산자 기호, 권한 기호

[사진 출처]

http://realforce111.tistory.com /63